6. 숫자 데이터 타입 사용하기

  • 27 minutes to read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정수 및 실수 데이터를 자주 사용합니다. 이번 강의는 숫자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습니다.

> // 숫자 데이터 타입: int, long, float, double 등의 키워드로 숫자 데이터 저장
NOTE

데이터 형식(Type)이 가장 기본적인 표현 방법이지만, 데이터 형식, 데이터 유형, 자료형 등으로 표현되는 방법에 대한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 Type을 타입으로 표현하도록 하겠습니다. 박용준 강사의 강의에서 데이터 타입은 데이터 형식을 단어 그대로 표현한 것 뿐입니다.

6.1. 숫자 데이터 타입

C 언어에서는 숫자 형식의 데이터를 다룰 때 사용되는 int 키워드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키워드를 제공합니다. 숫자 데이터 타입은 크게 정수 데이터 타입과 소수점을 가지는 실수 데이터 타입이 있습니다. 정수 데이터 타입 중에는 다시 부호 있는 숫자와 부호 없는 숫자로 나눕니다.

그림: 숫자 형식

숫자 형식

NOTE

많은 종류의 숫자 관련 데이터 타입은 long double > double > float > unsigned long > long > unsigned int > int > unsigned char > char 형태로 더 큰 수를 담을 수 있습니다.

정수 리터럴

정수 형식을 표현할 때 정수 리터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 숫자만 사용하면 10진수로 표현되고, 숫자 앞에 0x(Zero X)를 붙이면 16진수, 0(Zero) 하나만 붙이면 8진수로 표현됩니다.

코드: number_literal.c

// 정수 리터럴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printf("%d\n", 1234); // 10진수
    printf("%d\n", 0x1234); // 16진수
    printf("%d\n", 01234); // 8진수

    return 0;
}
1234
4660
668

출력 결과는 10진수 1234와 16진수 1234가 10진수로 변환된 4660과 8진수 1234가 10진수로 변환된 668이 출력됩니다. 참고로, 진법 변환에 대한 내용은 이 강의에서는 따로 다루지는 않습니다. (필요하다면 Windows에 내장된 계산기(calc)의 프로그래머 옵션을 사용하세요.)

6.2. 정수 데이터 타입 사용하기

정수형 키워드에는 signedunsigned 키워드가 붙는데, 둘의 차이점은 signedunsigned의 영어 단어 의미 그대로인 부호가 붙느냐 안 붙느냐의 차이점입니다.

  • 부호 있는(signed): +, - 부호가 있는 정수형입니다. 즉, 양수와 음수를 모두 지원합니다.
  • 부호 없는(unsigned): 부호 없이 + 값만을 다루는 정수형입니다. 즉 양수만을 지원합니다.

정수 데이터 타입의 종류는 다음 표를 참고하세요.

표: 정수 데이터 타입의 종류

종류 키워드
정수 데이터 타입 char
Int
long, long long
부호 있는 정수(+, -) char
short
int, long, long long
부호 없는 정수(+) unsigned short
unsigned int
unsigned long
unsigned long long

참고로, 표의 char 키워드는 정수를 담을 수도 있지만, 강의에서는 문자 하나를 담는 역할로만 사용합니다.

6.3. 정수형 변수 선언하고 초기화하기

앞서, 변수 사용하기를 공부할 때 이미 int 키워드를 사용하여 정수형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을 사용했었는데요. 이번에는 정수형 변수가 가질 수 있는 최솟값과 최댓값을 직접 저장한 후 출력하는 예제를 만들어보겠습니다.

코드: integer_demo.c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int min = -2147483647 - 1; // 정수형이 가질 수 있는 가장 작은값
    int max = +2147483647; // 정수형이 가질 수 있는 가장 큰값

    printf("int 변수의 최솟값: %d\n", min); // int 변수의 최솟값: -2147483648
    printf("int 변수의 최댓값: %d\n", max); // int 변수의 최댓값: 2147483647

    return 0;
}
int 변수의 최솟값: -2147483648
int 변수의 최댓값: 2147483647

int 키워드를 사용한 정수형은 최소 -21억부터 최대 +21억까지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위 예제에서 실행된 결과값을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참고로, int 형식은 대부분 컴퓨터에서 4 바이트(32 비트)로 처리됩니다. 그래서, 2의 32제곱을 반으로 나눠서 마이너스 값과 0을 포함한 플러스 값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인 -21억부터 +21억까지의 수를 나타냅니다.

6.4. 부호(+, -) 있는 정수 데이터 타입

C 언어에는 +-의 정수를 다룰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을 제공합니다. short, int, long, long long 순서대로 작은 수부터 큰 정수까지 담아놓을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밍 환경마다 다를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short는 16비트, int는 32비트, long은 32비트, long long은 64비트 크기의 저장소를 사용하여 부호 있는 정수를 담을 수 있습니다.

부호 있는 정수 데이터 타입의 범위는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값의 범위를 외우거나 상세히 기억할 필요는 전혀 없으니 간단히 살펴보고 넘어가면 됩니다.

그림: 부호 있는 정수의 범위

부호 있는 정수의 범위

참고: C 언어 데이터 타입

6.5. 부호 있는 정수 데이터 타입 사용하기

부호 있는 정수 데이터 타입의 4가지 키워드를 사용해보는 예제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코드: signed_integer.c

// 부호(+, -) 있는 정수 데이터 형식: short, int, long, long long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1] 부호 있는 정수 데이터 형식 변수 선언
    short s = 32767; // 16비트 부호 있는 정수형 변수 선언 및 할당
    int i = 2147483647; // 32비트 부호 있는 정수형 변수 선언 및 할당
    long l = 2147483647; // 32비트 부호 있는 정수형 변수 선언 및 할당
    long long ll = 9223372036854775807; // 64비트 부호 있는 정수형 변수 선언 및 할당

    //[2] 서식 지정자(자리 표시자): short(%d), int(%d), long(%ld), long long(%lld) 
    printf("short: %d\n", s); // short: 32767
    printf("int: %d\n", i); // int: 2147483647
    printf("long: %ld\n", l); // long: 2147483647
    printf("long long: %lld\n", ll); // long long: 9223372036854775807

    return 0;
}
short: 32767
int: 2147483647
long: 2147483647
long long: 9223372036854775807

실행 결과는 short, int, long, long long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가장 큰 값을 넣은 후 출력하는 내용입니다.

6.6. 부호 있는 데이터 타입 사용하기

부호 있는 데이터 타입의 크기와 최댓값 그리고 최솟값을 출력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코드 안의 숫자 값은 직접 작성해도 되지만 복사해서 사용해도 됩니다.

코드: integer_type.c

// 부호 있는 정수 데이터 타입 사용하기 
#include <stdio.h>
#include <limits.h> // 정수 데이터 타입의 최댓값과 최솟값에 대한 상수 정의

int main(void)
{
    //[1] 정수 데이터 타입 변수 선언
    short s = 32767;
    int i = 2147483647;
    long l = 2147483647;
    long long ll = 9223372036854775807;

    //[2] 자리 표시자: short(%d), int(%d), long(%ld), long long(%lld) 
    //32767 2147483647 2147483647 9223372036854775807
    printf("%d %d %ld %lld\n", s, i, l, ll);

    //[3] 정수 데이터 타입 크기: sizeof로 데이터 타입 크기를 알 수 있고 %llu로 출력
    // 리눅스 환경의 GCC 컴파일러에서는 서식 지정자로 %llu 대신에 %lu로 출력해야 함
    printf("%llu %llu %llu %llu\n",
        sizeof(short), // 2
        sizeof(int), // 4
        sizeof(long), // 4
        sizeof(long long) // 8
    );

    //[4] 정수 데이터 타입의 범위: 큰 숫자이므로 지수 표기법으로 출력
    //short: -32768 ~32767
    printf("short: %d ~ %d\n", SHRT_MIN, SHRT_MAX);
    //int : -2147483648 ~2147483647
    printf("int: %d ~ %d\n", INT_MIN, INT_MAX);
    //long : -2147483648 ~2147483647
    printf("long: %ld ~ %ld\n", LONG_MIN, LONG_MAX);
    //long long : -9223372036854775808 ~9223372036854775807
    printf("long long: %lld ~ %lld\n", LLONG_MIN, LLONG_MAX);

    return 0;
}
32767 2147483647 2147483647 9223372036854775807
2 4 4 8
short: -32768 ~ 32767
int: -2147483648 ~ 2147483647
long: -2147483648 ~ 2147483647
long long: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 [1] 정수 데이터 타입은 각각 short, int, long, long long 키워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이 때 정수 데이터는 int 키워드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 [2] 정수 데이터 타입 출력에 대한 서식 지정자는 shortint%d, long%ld, long long%lld를 사용합니다.
  • [3] sizeof() 연산자라는 것을 통해서 정수 데이터 타입의 크기를 구할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데이터 타입의 크기는 운영체제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 [4] limits.h 이름의 헤더 파일에는 정수 데이터 형식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담고 있는 상수가 정의되어 있습니다. SHRT_MIN, SHRT_MAX, INT_MIN, INT_MAX, LONG_MIN, LONG_MAX, LLONG_MIN, LLONG_MAX의 6개 상수로 short, int, long, long long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운영체제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데이터 타입 최솟값 최댓값
short SHRT_MIN SHRT_MAX
int INT_MIN INT_MAX
long LONG_MIN LONG_MAX
long long LLONG_MIN LLONG_MAX

6.7. 부호 없는 정수 데이터 타입

부호 없는 정수 데이터 타입은 - 값을 사용할 수 없지만, + 값을 부호 있는 정수 타입의 2배 크기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을 제공합니다. 부호 없는 정수 데이터 타입은 unsigned short, unsigned int, unsigned long, unsigned long long의 4가지를 사용합니다. 각각의 범위는 다음 그림과 같이 부호 있는 범위보다 2배 더 큰 양의 정수 값을 제공합니다.

그림: 부호 없는 정수의 범위

그림: 부호 없는  정수의 범위

부호 없는 데이터 타입을 사용해보겠습니다.

코드: unsigned_integer_type.c

// 부호 없는 정수 데이터 타입 사용하기 
#include <stdio.h>
#include <limits.h> // 정수 데이터 타입의 최댓값과 최솟값에 대한 상수 정의

int main(void)
{
    //[1] 정수 데이터 타입 변수 선언
    unsigned short s = 65535;  
    unsigned int i = 4294967295;  
    unsigned long l = 4294967295;  
    unsigned long long ll = 18446744073709551615;  

    //[2] 자리 표시자: short(%u), int(%u), long(%lu), long long(%llu) 
    printf("%u %u %lu %llu\n", s, i, l, ll); // 

    //[3] 정수 데이터 타입 크기: sizeof로 데이터 타입 크기를 알 수 있고 %llu로 출력
    // 리눅스 환경의 GCC 컴파일러에서는 서식 지정자로 %llu 대신에 %lu로 출력해야 함
    printf("%llu %llu %llu %llu\n",
        sizeof(unsigned short),
        sizeof(unsigned int),
        sizeof(unsigned long),
        sizeof(unsigned long long)
    );

    //[4] 정수 데이터 타입의 범위
    printf("unsigned short: 0 ~ %u\n", USHRT_MAX);
    printf("unsigned int: 0 ~ %u\n", UINT_MAX);
    printf("unsigned long: 0 ~ %lu\n", ULONG_MAX);
    printf("unsigned long long: 0 ~ %llu\n", ULLONG_MAX);

    return 0;
}
65535 4294967295 4294967295 18446744073709551615
2 4 4 8
unsigned short: 0 ~ 65535
unsigned int: 0 ~ 4294967295
unsigned long: 0 ~ 4294967295
unsigned long long: 0 ~ 18446744073709551615

위 코드는 unsigned short, unsigned int, unsigned long, unsigned long long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가장 큰 값을 넣은 후 출력하는 내용입니다. 부호 있는 정수형보다 2배 큰 범위의 값을 넣을 수 있습니다.

6.8. 정수 데이터 타입의 크기

sizeof() 연산자를 사용하여 주요 정수 데이터 타입의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sizeof() 연산자의 결괏값은 %lld 서식 지정자를 사용하여 출력합니다.

코드: integer_size.c

// 정수 데이터 형식의 크기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printf("short: %lld\n", sizeof(short)); // short: 2
    printf("int: %lld\n", sizeof(int)); // int: 4
    printf("long: %lld\n", sizeof(long)); // long: 4
    printf("unsigned: %lld\n", sizeof(unsigned)); // unsigned: 4
    return 0;
}
short: 2
int: 4
long: 4
unsigned: 4

위 소스의 내용은 실제로는 다음 서식 지정자를 사용하는 걸 권장합니다.

자료형 서식 지정자
short %hd 또는 %hi
int %d
long %ld
long long %lld

stdint.h는 C99 표준에서 추가된 헤더 파일 중 하나로, 정수형 데이터의 크기와 부호 여부를 명시적으로 지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헤더 파일은 다양한 운영 체제와 아키텍처에서 코드의 이식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stdint.h 헤더 파일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 형식을 정의합니다.

  • int8_t : 부호 있는 8비트 정수형
  • uint8_t : 부호 없는 8비트 정수형
  • int16_t : 부호 있는 16비트 정수형
  • uint16_t : 부호 없는 16비트 정수형
  • int32_t : 부호 있는 32비트 정수형
  • uint32_t : 부호 없는 32비트 정수형
  • int64_t : 부호 있는 64비트 정수형
  • uint64_t : 부호 없는 64비트 정수형

이러한 데이터 형식은 특정 크기와 부호를 갖기 때문에 코드 이식성을 향상시키고, 정확한 데이터 형식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또한, int_leastN_t와 uint_leastN_t 형식도 제공됩니다. 이 형식은 적어도 N비트의 크기를 보장합니다. 예를 들어, int_least16_t는 16비트 이상의 크기를 보장합니다.

마지막으로, intmax_t와 uintmax_t는 정수형 데이터 중 가장 큰 크기를 갖습니다. 이러한 형식은 매우 큰 정수 값을 처리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6.9. 오버플로(Overflow)

int 형식이 담을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는 데이터로 초기화되면 이를 오버플로(overflow)라고 해서 잘못된 데이터가 담깁니다. 그래서 프로그래밍할 때에는 데이터 타입의 범위를 확인하면서 코드를 작성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int 타입이 저장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는 다음 코드의 실행 결과는 잘못된 데이터입니다.

코드: integer_overflow.c

int num = (2147483647 + 2147483647); // INT_MAX + INT_MAX
printf("%d\n", num); // 잘못된 데이터 값 출력
-2

6.10. 실수 데이터 타입 사용하기

소수점 이하의 숫자를 다루는 실수 데이터 타입(부동 소수점(Floating Point)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부동 소수점 데이터 타입으로 표현되는 실수를 컴퓨터에서 표현하는 방법은 복잡합니다. 이러한 표현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은 박용준 강사의 이 강의의 범위를 벗어나기에 실수 데이터 타입은 3.14와 같이 우리가 평상시에 사용하던 방식의 실수 그 자체로 이해하면 됩니다. 실수 데이터는 부동 소수점 방식의 데이터 타입인 float, double, long double 키워드를 제공합니다.

그림: 실수 데이터 타입

실수 데이터 타입

Windows 운영체제를 기준으로 실수 데이터 타입을 나타내는 double은 64비트, float는 32비트, long double은 64비트의 크기를 갖습니다. 실수 데이터 타입의 종류는 다음 표와 같습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할 필요없이 float, double, long double 키워드가 실수 데이터를 표현한다는 것만 기억하면 됩니다.

표: 실수 데이터 타입의 종류(Windows 기준)

종류 키워드 크기 비고
부동 소수점 방식 float 4바이트 IEEE 754 단정밀도 부동 소수점
double 8바이트 IEEE 754 배정밀도 부동 소수점
long double 8바이트 IEEE 754 배정밀도 부동 소수점

실수 데이터 타입이 갖는 크기와 값의 범위는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정수 데이터 타입과 마찬가지로 여기에 나오는 값들의 크기와 범위는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필요할 때 다시 찾아보면 됩니다. 아래 표기법은 지수 표기법으로 표현했는데 float 데이터 타입의 최댓값은 약 3.4 곱하기 10의 38제곱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림: 실수 데이터 타입의 범위(Windows 기준)

실수 데이터 타입의 범위

6.10.1. 참고: 지수 표기법

아주 큰 수와 아주 작은 수를 표현할 때에는 지수 표기법(Exponential Notation)을 사용합니다. 지수 표기법은 과학적 표기법(Scientific Notation)이라고도 합니다. 지수 표기법은 아주 크거나 아주 작은 숫자들을 십진법으로 편하게 작성하여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숫자 12345678901은 1.23E+10으로 표시하며, 이는 1.23 곱하기 10의 10제곱입니다. 지수 표기법은 숫자를 "-d.ddd…E+ddd" 또는 "-d.ddd…e+ddd" 형태의 문자열로 변환합니다. 여기서 각 "d"는 숫자(0-9)를 나타냅니다. 숫자가 음수이면 문자열 앞에 빼기 기호가 붙습니다. 정수를 한 자리만 표시하는 규칙을 가지고 있기에 소수점 앞에는 항상 숫자가 하나만 있어야 합니다.

  • 실수E+지수: 실수 곱하기 지수만큼의 10의 거듭제곱을 나타냅니다.
  • -3.4E+38: -3.4 곱하기 10의 38제곱입니다.
  • 1.7E+308: 1.7 곱하기 10의 308제곱입니다.

6.10.2. C 언어 실수 데이터 타입 사용하기

소개

C 언어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실수 데이터 타입을 사용하겠습니다. C 언어에서 실수 데이터 타입은 float, double, long double의 키워드를 사용하여 소수점이 있는 실수 데이터는 저장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박용준 강사의 강의에서는 double 형식을 기본으로 사용합니다.

실수 데이터 타입을 printf 펑션으로 출력할 때 서식 지정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float: %f
  • double: %lf 또는 %f 사용 가능
  • long double: %Lf

코드: floating_point.c

// 실수 데이터 타입 사용하기 
#include <stdio.h>
#include <float.h> // 실수 데이터 타입의 최댓값과 최솟값에 대한 상수 정의

int main(void)
{
	//[1] 실수 데이터 타입 변수 선언
	float f = 3.141592f; // 단정밀도 부동소수점 변수, 숫자 뒤에 f 접미사 붙임
	double d = 3.141592; // 배정밀도 부동소수점 변수, 접미사를 붙이지 않음
	long double ld = 3.141592l; // 배정밀도 부동소수점 변수 접미사 l을 붙임

	//[2] 자리 표시자: float(%f), double(%f), long double(%Lf)
	printf("%.6f %.6f %.6Lf\n", f, d, ld); // 3.141592 3.141592 3.141592

	// 서식 지정자로 지수 표기법 사용: float(%e), double(%e), long double(%Le)
	printf("%e %e %Le\n", f, d, ld); // 3.141592e+00 3.141592e+00 3.141592e+00

	//[3] 실수 데이터 타입 크기: sizeof로 데이터 타입 크기를 알 수 있고 %llu로 출력
	// 리눅스 환경의 GCC 컴파일러에서는 서식 지정자로 %llu 대신에 %lu로 출력해야 함
	printf("%llu %llu %llu\n", sizeof(float), sizeof(double), sizeof(long double));

	//[4] 실수 데이터 타입의 범위: 큰 숫자이므로 지수 표기법으로 출력
	printf("float: %e ~ %e\n", FLT_MIN, FLT_MAX);
	printf("double: %e ~ %e\n", DBL_MIN, DBL_MAX);
	printf("long double: %Le ~ %Le\n", LDBL_MIN, LDBL_MAX);

	return 0;
}

Windows에서 실행 결과

3.141592 3.141592 3.141592
3.141592e+00 3.141592e+00 3.141592e+00
4 8 8
float: 1.175494e-38 ~ 3.402823e+38
double: 2.225074e-308 ~ 1.797693e+308
long double: 2.225074e-308 ~ 1.797693e+308

Linux에서 실행 결과

3.141592 3.141592 3.141592
3.141592e+00 3.141592e+00 3.141592e+00
4 8 16
float: 1.175494e-38 ~ 3.402823e+38
double: 2.225074e-308 ~ 1.797693e+308
long double: 3.362103e-4932 ~ 1.189731e+4932
  • [1] 실수 데이터 타입은 각각 float, double, long double 키워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이 때 실수 데이터는 double 키워드를 기본으로 사용하겠습니다.
  • [2] 실수 데이터 타입 출력에 대한 서식 지정자는 %f, %Lf를 기준으로 %e, %Le 형태로 지수 표기법으로도 표현이 가능합니다.
  • [3] sizeof() 연산자를 통해서 실수 데이터 타입의 크기를 구할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데이터 타입의 크기는 운영체제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 [4] float.h 헤더 파일에는 실수 데이터 형식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담고 있는 상수가 정의되어 있습니다. FLT_MIN, FLT_MAX, DBL_MIN, DBL_MAX, LDBL_MIN, LDBL_MAX의 6개 상수로 float, double, long double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운영체제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6.10.3 실수 데이터 타입 서식 지정자

복습 차원에서 실수 데이터 타입의 서식 지정자를 다시 사용해보겠습니다.

코드: float_print.c

// float_print.c
// 실수(float, double, long double) 데이터 형식의 주요 서식 지정자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float weight = 70.5F;
    double pi = 3140E-3; // 3140 * 10^-3

    printf("weight: %.2f, %e => %g\n", weight, weight, weight);
    printf("pi: %.2f, %e => %g\n", pi, pi, pi); 

    return 0;
}
weight: 70.50, 7.050000e+01 => 70.5
pi: 3.14, 3.140000e+00 => 3.14

%.2f 형태로 소수 자리 2자리만 표현할 수 있습니다.

6.11. typedef 키워드로 새로운 형식 만들기

typedef 키워드를 사용하면 C 언어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int, float, double과 같은 키워드에 대한 새로운 별칭을 부여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나중에 배울 구조체에서는 많이 사용되나 기본 제공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는 많이 사용되진 않지만, 참고로 기억하세요.

typedef 키워드 별칭;

코드: type_def.c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typedef int number; // int 형식을 number 이름의 별칭으로 사용

    number age = 123; // int age = 123; 코드와 동일

    printf("%d\n", age);

    return 0;
}
123

typedef 키워드로 int 키워드에 별칭을 number 키워드로 추가했습니다. 그러면 현재 프로그램내에서는 intnumber는 모두 int 형식의 변수를 선언할 수 있는 키워드로 사용이 됩니다.

6.12. 장 요약

숫자 데이터 타입을 나타내는 키워드는 많이 있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int, long, float, double입니다. 그리고 모든 숫자 데이터 타입은 최댓값과 최솟값을 제공하지만 범위를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프로그램을 작성하면서 자연스럽게 각각의 범위에 맞는 데이터 타입을 사용하는 법을 익힐 수가 있습니다.

VisualAcademy Docs의 모든 콘텐츠, 이미지, 동영상의 저작권은 박용준에게 있습니다.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전재와 복제를 금합니다. 사이트의 콘텐츠를 복제하여 블로그, 웹사이트 등에 게시할 수 없습니다. 단, 링크와 SNS 공유, Youtube 동영상 공유는 허용합니다. www.VisualAcademy.com
박용준 강사의 모든 동영상 강의는 데브렉에서 독점으로 제공됩니다. www.devlec.com